맨위로가기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리가 플레이오프전은 라리가와 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승강을 결정하기 위해 치러지는 경기이다. 1929년 처음 시작되어, 세군다 디비시온 1위 팀과 라리가 최하위 팀 간의 플레이오프전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세군다 디비시온의 리그 확장, 스페인 내전 이후의 변화, 그리고 1987년 라리가의 확장과 함께 승강 플레이오프전이 재도입되었다. 2011-2012 시즌부터는 잉글리시 풋볼 리그 플레이오프 형식을 도입하여, 세군다 디비시온 3위에서 6위까지의 팀들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군다 디비시온 플레이오프전 -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9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9는 라리가 승격을 위해 말라가 CF, 알바세테 발롬피에, RCD 마요르카,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했으며, 마요르카가 최종 승리하여 라리가로 승격했다.
  • 세군다 디비시온 플레이오프전 -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1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1은 2010-11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3위부터 6위 팀들이 참가하여 그라나다가 엘체를 꺾고 35년 만에 라리가로 승격하는 토너먼트였다.
  • 라리가 - 지로나 FC
    스페인 지로나를 연고로 하는 지로나 FC는 1930년 창단되어 오랜 기간 하위 리그를 전전하다 2017-18 시즌에 라리가에 처음 승격했으며, 에스타디 몬틸리비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2024-25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클럽 역사상 첫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을 달성했다.
  • 라리가 - 비야레알 CF
    비야레알 CF는 스페인 발렌시아 주 비야레알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923년 창단 후 1998-99 시즌 라리가에 처음 승격하여 2020-21 시즌 UEFA 유로파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노란 잠수함"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대회 개요
명칭라 리가 플레이오프전
참가 팀 수4
최근 대회2024 세군다 디비시온 플레이오프전

2. 초기 플레이오프 (1929)

라 리가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첫 플레이오프전은 세군다 디비시온 1위 구단과 라 리가 최하위 구단 간의 승격/강등 플레이오프전이었다. 두 구단은 안방과 원정 경기 방식으로 승격/강등 여부를 결정했는데, 라싱 산탄데르세비야를 이기면서 1부 리그 잔류를 확정지었다.[11][1]

시즌승자패자
1929라싱 산탄데르세비야


2. 1. 1929 시즌

라 리가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첫 플레이오프전은 세군다 디비시온 1위 구단과 라 리가 최하위 구단 간의 승격/강등 플레이오프전이었다. 두 구단은 안방과 원정 경기 방식으로 승격/강등 여부를 결정했는데, 라싱 산탄데르세비야를 이기면서 1부 리그 잔류를 확정지었다.[11][1]

시즌승자패자
1929라싱 산탄데르세비야


3. 세군다 디비시온 확장기 (1935-1936)

1934년, 세군다 디비시온이 3개 조, 10개 구단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각 조별 상위 2개 구단이 결선에 진출하여 리그전을 펼쳤다. 여기서 상위 2개 구단이 라리가로 승격되었다.


3. 1. 1935 시즌

1934년, 세군다 디비시온이 3개조 10개 구단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각 조별 상위 2개 구단이 결선에 진출하여 리그전을 펼쳤고, 여기서 상위 2개 구단이 라리가로 승격되었다.

시즌우승팀준우승팀3위4위5위6위
1935에르쿨레스오사수나셀타 비고사바델무르시아바야돌리드


3. 2. 1936 시즌

1934년, 세군다 디비시온이 3개조 10개 구단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확장되어, 각 조별 상위 2개 구단이 결선 리그전을 펼쳤다. 여기서 상위 2개 구단이 라리가로 승격되었다. 1936 시즌에는 셀타 비고가 우승하였고, 사라고사가 준우승을 차지하여 라리가로 승격하였다. 3위는 아레나스 게초, 4위는 무르시아, 5위는 지로나, 6위는 헤레스가 차지했다.


4. 스페인 내전 이후 (1940-1950)

스페인 내전 종전 직후, 세군다 디비시온 1939-40을 기점으로 5개조로 확장되었고, 우승자가 결선에 합류했다. 결선 리그 우승 구단은 즉시 1부 리그 승격 자격이 주어졌고, 준우승 구단은 라 리가 승격을 위해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이후, 세군다 디비시온은 12개 구단으로 구성된 2개의 조로 재편성했고, 각 조의 1, 2위 구단이 결선에 진출했다. 이 경우, 결선 리그의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이 즉시 1부 리그로 승격되었고, 3위와 4위 구단이 라 리가 12위, 11위 구단과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단일 리그로 개편된 1945년을 기점으로 1947년까지, 세군다 디비시온 3위 구단이 라 리가 12위 구단과 단판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모든 경기는 중립 구장에서 치렀다.


4. 1. 1940 시즌

스페인 내전 종전 직후, 세군다 디비시온 1939-40을 기점으로 5개조로 확장되었고, 우승자가 결선에 합류했다. 결선 리그 우승 구단은 즉시 1부 리그 승격 자격이 주어졌고, 준우승 구단은 라 리가 승격을 위해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1940 시즌 플레이오프전에서는 셀타 비고데포르티보를 꺾고 승격하였다.

4. 2. 1941 시즌

스페인 내전 종전 직후, 세군다 디비시온은 12개 구단으로 구성된 2개의 조로 재편성되었고, 각 조의 1, 2위 구단이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 리그의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은 라리가로 바로 승격되었고, 3위와 4위 구단은 라 리가 12위, 11위 구단과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모든 경기는 중립 구장에서 치러졌다.

1941 시즌에는 카스테욘사라고사를, 데포르티보무르시아를 꺾고 승격하였다.


4. 3. 1942 시즌

스페인 내전 종전 직후, 세군다 디비시온은 12개 구단으로 구성된 2개의 조로 재편성되었고, 각 조의 1, 2위 구단이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 리그의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은 라리가로 곧바로 승격되었고, 3위와 4위 구단은 라 리가 12위, 11위 구단과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1942 시즌에는 바르셀로나오비에도가 각각 무르시아사바델을 꺾고 승격하였다. 모든 경기는 중립 구장에서 치러졌다.


4. 4. 1943 시즌

스페인 내전 종전 직후, 세군다 디비시온 1939-40을 기점으로 5개조로 확장되었고, 우승자가 결선에 합류했다. 결선 리그 우승 구단은 즉시 1부 리그 승격 자격이 주어졌고, 준우승 구단은 라 리가 승격을 위해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이후, 세군다 디비시온은 12개 구단으로 구성된 2개의 조로 재편성했고, 각 조의 1, 2위 구단이 결선에 진출했다. 이 경우, 결선 리그의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이 즉시 1부 리그로 승격되었고, 3위와 4위 구단이 라 리가 12위, 11위 구단과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1943 시즌에는 에스파뇰그라나다가 각각 스포르팅 히혼바야돌리드를 꺾고 승격하였다. 모든 경기는 중립 구장에서 치러졌다.


4. 5. 1944 시즌

1943-44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은 12개 구단으로 구성된 2개의 조로 운영되었으며, 각 조의 1, 2위 구단이 결선 리그에 진출했다. 결선 리그 결과, 데포르티보에스파뇰이 각각 콘스탄시아와 알코야노를 꺾고 라리가로 승격하였다.

승자패자
데포르티보콘스탄시아
에스파뇰알코야노


4. 6. 1945 시즌

1945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이 단일 리그로 개편된 후 첫 플레이오프전이 열렸다. 셀타 비고그라나다를 꺾고 승격에 성공하였다. 모든 경기는 중립 구장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

시즌승자패자
1945셀타 비고그라나다


4. 7. 1946 시즌

1946 시즌, RCD 에스파뇰힘나스티코와의 라리가 승격 플레이오프전에서 승리하여 승격하였다. 모든 경기는 중립 구장에서 단판으로 치러졌다.

4. 8. 1947 시즌

1945년부터 1947년까지 세군다 디비시온은 단일리그로 개편되었고, 3위 구단이 라 리가 12위 구단과 단판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 1947 시즌에는 레알 소시에다드무르시아를 꺾고 승격하였다. 모든 경기는 중립 구장에서 치러졌다.


4. 9. 1950 시즌

1950 시즌에는 알코야노힘나스티코를, 무르시아오비에도를 꺾고 승격하였다.

5. 리그 방식 플레이오프 (1951-1956)

1950년대에 세군다 디비시온이 2개 조로 나뉘면서 승격/강등 제도가 개편되었다. 각 조의 2위와 3위 팀, 그리고 라리가 16개 구단들 중 13위와 14위를 차지한 구단이 리그전을 펼쳐 이듬해 라 리가 시즌에 합류했다.[12]



1951 시즌에는 라스 팔마스사라고사라리가로 승격하였다.[12] 1952 시즌에는 발렌시아 메스타야[13]가 우승을 차지했지만 2군 팀이었기 때문에 승격 자격이 없었다. 따라서 2위를 차지한 레알 히혼과 3위를 차지한 레알 산탄데르라리가로 승격하였다.[13] 1953 시즌에는 '''데포르티보'''와 '''셀타 비고'''가 라리가로 승격하였다.[14] 에스파냐 인두스트리알은 2군 팀이었기 때문에 승격 자격이 없었다.[4] 1954 시즌에는 말라가에르쿨레스가 라리가로 승격하였다.[12] 1955 시즌에는 에스파뇰레알 소시에다드가 승격하였다.[2] 1956 시즌에는 에스파냐 인두스트리알[15]이 1위를 차지했지만 2군 팀이었기 때문에 승격 자격이 없었고, 2위를 차지한 사라고사가 라리가로 승격하였다.[2]

5. 1. 1951 시즌

1950년대에 세군다 디비시온이 2개 조로 나뉘면서 승격/강등 제도가 개편되었다. 각 조의 2위와 3위, 그리고 라 리가 16개 구단들 중 13위와 14위를 차지한 구단이 리그전을 펼쳐 이듬해 라 리가 시즌에 합류했다.[12]

1951 시즌에는 라스 팔마스사라고사라리가로 승격하였다.[12] 이 시즌 플레이오프전에는 말라가, 무르시아, 사바델, 살라망카도 참가했다.


5. 2. 1952 시즌

1950년대에 들어 세군다 디비시온이 2개조로 나뉘었고, 승격/강등 제도가 개편되었다. 각 조의 2위와 3위, 그리고 라 리가 16개 구단들 중 13위와 14위를 차지한 구단이 리그전을 펼쳐 이듬해 라 리가 시즌에 합류했다.[12]

1952 시즌에는 발렌시아 메스타야[13][3]가 우승을 차지했지만 2군 팀이었기 때문에 승격 자격이 없었다. 따라서 2위를 차지한 레알 히혼과 3위를 차지한 레알 산탄데르라리가로 승격하였다.[13][3]

시즌우승준우승3위4위5위6위
1952메스타야[13][3]레알 히혼레알 산탄데르알코야노로그로녜스페롤


5. 3. 1953 시즌

1950년대에 세군다 디비시온이 2개조로 나뉘면서 승격/강등 제도가 개편되었다. 각 조의 2위와 3위, 그리고 라 리가 16개 구단들 중 13위와 14위를 차지한 구단이 리그전을 펼쳐 이듬해 라 리가 시즌에 합류했다.[12] 1953 시즌에는 '''데포르티보'''와 '''셀타 비고'''가 라리가로 승격하였다.[14] 에스파냐 인두스트리알은 2군 팀이었기 때문에 승격 자격이 없었다.[4]

시즌우승준우승3위4위5위6위
1953데포르티보에스파냐 인두스트리알[14]셀타 비고테투안아빌레스에르쿨레스


5. 4. 1954 시즌

1950년대에 세군다 디비시온이 2개조로 나뉘면서 승격/강등 제도가 개편되었다. 각 조의 2위와 3위, 그리고 라 리가 16개 구단들 중 13위와 14위를 차지한 구단이 리그전을 펼쳐 이듬해 라 리가 시즌에 합류했다.[12] 1954 시즌에는 말라가에르쿨레스가 라리가로 승격하였다.[12]

시즌우승준우승3위4위5위6위
1954말라가에르쿨레스오사수나바라칼도레리다하엔


5. 5. 1955 시즌

1950년대에 세군다 디비시온이 2개조로 나뉘면서 승격/강등 제도가 개편되었다. 각 조의 2위와 3위, 그리고 라 리가 16개 구단들 중 13위와 14위를 차지한 구단이 리그전을 펼쳐 이듬해 라 리가 시즌에 합류했다.[12] 1955 시즌에는 에스파뇰레알 소시에다드가 승격하였다.[2]

시즌우승준우승3위4위5위6위
1955에스파뇰레알 소시에다드오비에도테투안사라고사그라나다


5. 6. 1956 시즌

1950년대에 세군다 디비시온이 2개조로 나뉘면서 승격/강등 제도가 개편되었다. 각 조의 2위와 3위, 라 리가 13위와 14위 구단이 리그전을 펼쳐 상위 두 팀이 라 리가로 승격되었다.[12] 1956 시즌에는 에스파냐 인두스트리알[15]이 1위를 차지했지만 2군 팀이었기 때문에 승격 자격이 없었고, 2위를 차지한 사라고사가 라리가로 승격하였다.[2]

시즌우승준우승3위4위5위6위
1956에스파냐 인더스트리얼[5]사라고사오비에도무르시아레알 베티스알라베스


6. 승강 플레이오프 재도입 (1959-1968)

1958년,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라리가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전 형식을 재도입했다. 라리가 13위와 14위는 세군다 디비시온 3위와 4위 구단과 맞대결을 벌였으며, 여기서 승리한 두 구단이 이듬해 라 리가에 참가하게 되었다.


6. 1. 1959 시즌

1958년,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은 라 리가와 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전 형식을 재도입했다. 라 리가 13위와 14위는 세군다 디비시온 3위와 4위 구단과 맞대결을 벌였으며, 여기서 승리한 두 구단이 이듬해 라 리가에 참가하게 되었다.

1959 시즌에는 그라나다사바델을 꺾고, 라스 팔마스레반테를 이기면서 라 리가로 승격하였다.

6. 2. 1960 시즌

1960 시즌에는 레알 소시에다드코르도바를, 바야돌리드셀타 비고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6. 3. 1961 시즌

1960-61 라 리가 강등 플레이오프전에서 엘체는 아틀레티코 세우타를, 오비에도셀타 비고를 꺾고 승리하였다.

6. 4. 1962 시즌

1962년 라리가 승강 플레이오프전에서는 말라가라싱 산탄데르를 꺾고, 바야돌리드에스파뇰을 꺾고 승리하였다.

6. 5. 1963 시즌

1963 시즌에는 에스파뇰레반테가 각각 마요르카데포르티보를 꺾고 승리하였다.

6. 6. 1964 시즌

1964 시즌, 에스파뇰오비에도가 각각 레알 히혼에르쿨레스를 꺾고 승리하였다.

6. 7. 1965 시즌

1965 시즌에는 말라가와 사바델이 각각 레반테무르시아를 꺾고 승리하였다.

6. 8. 1966 시즌

1966 시즌 라리가 플레이오프전에서는 그라나다말라가를 꺾고 잔류에 성공했으며, 사바델은 셀타 비고를 누르고 승격하였다.

6. 9. 1967 시즌

1967 시즌에는 베티스그라나다를 꺾고, 세비야레알 히혼을 꺾고 승리하였다.

6. 10. 1968 시즌

1967-68 라 리가 강등 플레이오프전에서는 코르도바레알 소시에다드가 각각 칼보 소텔로와 레알 바야돌리드를 꺾고 승리하였다.

7. 라리가 확장과 승강 플레이오프 (1987-1999)

1987년 스페인 프로축구연맹(LFP)이 라리가 참가 구단 수를 20개로 늘리면서 라 리가와 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전을 재도입했다. 라 리가의 17위와 18위 구단, 그리고 2군을 제외한 세군다 디비시온 3위와 4위 구단이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16] 두 플레이오프전의 승자가 라 리가 참가 자격을 얻었다.

1997년에는 라 리가 참가 구단 수를 22개에서 20개로 줄이면서, 라 리가 18위 구단과 세군다 디비시온 3위 구단 간의 플레이오프전만 진행되었다.

1999년까지 이 형식이 유지되었으며, 이후 플레이오프전은 폐지되고 라 리가 최하위 3개 구단이 강등되고 세군다 디비시온 최상위 3개 구단이 승격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7]


7. 1. 1988 시즌

1987년 스페인 프로축구연맹(LFP)이 라리가 참가 구단 수를 20개로 늘리면서 라 리가와 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전이 재도입되었다.[16] 1988 시즌에는 라 리가의 17위와 18위 구단, 세군다 디비시온 3위와 4위 구단이 플레이오프전을 치렀다.[16] 레알 무르시아라요 바예카노를 꺾고, 레알 오비에도마요르카를 꺾고 승리하여 라 리가 참가 자격을 얻었다.[16]


7. 2. 1989 시즌

1989 시즌 라리가 승강 플레이오프전에서는 마요르카테네리페가 각각 에스파뇰베티스를 꺾고 승리하였다.[16][17]

7. 3. 1990 시즌

1990 시즌에는 에스파뇰테네리페가 승리하였다.[16] 에스파뇰은 말라가를 상대로 승리하였고, 테네리페는 데포르티보를 꺾고 라 리가 승격 자격을 획득했다.[16]

7. 4. 1991 시즌

1991년 라리가 승강 플레이오프전에서는 카디스사라고사가 각각 말라가무르시아를 꺾고 승리하여 라 리가 잔류 및 승격에 성공하였다.[16]


7. 5. 1992 시즌

1992 시즌에는 카디스가 피게레스를 상대로 승리하였고,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는 베티스를 꺾고 라 리가 잔류 및 승격에 성공하였다.[16][17]

7. 6. 1993 시즌

1993 시즌에는 알바세테라싱 산탄데르가 각각 마요르카에스파뇰을 꺾고 승리하였다.[16] 알바세테는 라 리가 잔류에 성공하였고, 라싱 산탄데르는 라 리가로 승격하였다.[16]

7. 7. 1994 시즌

1994 시즌에는 콤포스텔라바야돌리드가 승리하였다.[16] 콤포스텔라는 라요 바예카노를, 바야돌리드는 톨레도를 꺾고 승격하거나 잔류에 성공했다.[16]

7. 8. 1995 시즌

1994-95 라 리가 강등 플레이오프전에서 스포르팅 히혼과 살라망카가 각각 례이다알바세테를 꺾고 승리하였다.[18]

7. 9. 1996 시즌

1995-96 라 리가 강등 플레이오프전에서 엑스트레마두라라요 바예카노가 승리하여 라 리가 승격 자격을 얻었다.[16] 엑스트레마두라는 알바세테를, 라요 바예카노는 마요르카를 상대로 승리했다.[16]


7. 10. 1997 시즌

1997년, 라 리가 참가 구단 수를 22개에서 20개로 줄이면서, 라 리가 18위 구단과 세군다 디비시온 3위 구단 간의 한 차례 플레이오프전만 진행되었다.[16] 1997 시즌 플레이오프전에서는 마요르카라요 바예카노를 꺾고 승리하였다.[17]

7. 11. 1998 시즌

1998 시즌에는 레알 오비에도라스 팔마스를 상대로 승리하고, 비야레알콤포스텔라를 상대로 승리하여 라 리가 잔류 및 승격에 성공하였다.[16]

7. 12. 1999 시즌

스페인 프로축구연맹(LFP)은 1999년까지 라 리가와 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전을 시행했다.[16] 1999 시즌에는 라요 바예카노세비야가 각각 엑스트레마두라비야레알을 꺾고 승리하였다.[17] 이후 플레이오프전은 폐지되고 라 리가 최하위 3개 구단이 강등되고 세군다 디비시온 최상위 3개 구단이 승격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7]

8. 현대적 플레이오프 시스템 (2011-현재)

2010-11 시즌부터 세군다 디비시온풋볼 리그 플레이오프전 형식을 도입했다.[19] 상위 2개 팀은 다음 시즌 라리가로 바로 승격되며, 3위에서 6위까지의 팀들은 플레이오프에 참가한다. 만약 2군이 이 순위 안에 기록되는 경우, 참가 자격은 차상위 구단이 가져간다.[19]

준결승전에서 5위 구단은 4위 구단을 상대하며 6위 구단은 3위를 상대한다. 결승전도 안방과 원정 경기를 번갈아 치른다. 상위 순위로 리그를 마친 구단이 2차전을 안방에서 치른다.

2년차를 기점으로 새 규정이 신설되었다. 토너먼트전에서 동점을 이룰 경우 종료 시에 연장전을 시행하고, 그래도 동점이면 승부차기 없이 리그를 상위 순위로 마친 구단이 우선권에 따라 승자로 결정된다.[20]


8. 1. 2011 시즌

2010-11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풋볼 리그 플레이오프전 형식이 도입되었다.[19] 상위 2개 구단은 라리가로 바로 승격되며, 3위부터 6위까지의 구단이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한다. 2군이 이 순위 안에 기록되는 경우, 참가 자격은 차상위 구단에게 주어진다.[19]

준결승전에서 5위 구단은 4위 구단을, 6위 구단은 3위를 상대한다. 결승전도 안방과 원정 경기를 번갈아 치르며, 상위 순위로 리그를 마친 구단이 2차전을 안방에서 치른다.

2년차를 기점으로 새 규정이 신설되었다. 토너먼트전에서 동점을 이룰 경우 연장전을 시행하고, 그래도 동점이면 승부차기 없이 리그를 상위 순위로 마친 구단이 우선권에 따라 승자로 결정된다.[20]

2011 시즌에서는 '''그라나다'''가 엘체를 꺾고 승격하였다.[19][20] 준결승전에서는 셀타 비고와 바야돌리드가 탈락했다.

8. 2. 2012 시즌

2012 시즌에는 바야돌리드알코르콘을 꺾고 승격하였다.[19] 준결승전에서는 코르도바에르쿨레스가 탈락했다.[19] 2011-12 시즌은 토너먼트전에서 동점을 이룰 경우 종료 시에 연장전을 시행하고, 그래도 동점이면 승부차기 없이 리그를 상위 순위로 마친 구단이 우선권에 따라 승자로 결정되는 규정이 적용된 두 번째 시즌이었다.[20]

8. 3. 2013 시즌

2013 시즌에는 알메리아지로나를 꺾고 라리가로 승격하였다.[19] 준결승전에서는 알코르콘라스 팔마스가 탈락했다.[20] 2010-11 시즌부터 세군다 디비시온은 풋볼 리그 플레이오프 형식을 채택했다. 상위 2개 팀은 다음 시즌 라리가로 직접 승격하며, 3위에서 6위까지의 팀들은 플레이오프에 참가한다. 만약 리저브 팀이 이 중 한 자격을 얻으면, 그 자리는 다음으로 좋은 성적을 거둔 팀에게 넘어간다.[9]

8. 4. 2014 시즌

2014 시즌에는 코르도바라스 팔마스를 꺾고 승격하였다.[19][20] 준결승전에서는 무르시아스포르팅 히혼이 진출했다.[19]

8. 5. 2015 시즌

2015 시즌에는 라스 팔마스사라고사를 꺾고 라리가로 승격하였다.[19] 준결승전에는 지로나바야돌리드가 진출했다.[19]

8. 6. 2016 시즌

2016 시즌에는 오사수나지로나를 꺾고 승격했다.[19][20] 코르도바짐나스틱도 준결승에 진출했다.

8. 7. 2017 시즌

2017 시즌에는 헤타페테네리페를 꺾고 승격하였다.[19] 준결승전에서는 카디스우에스카가 탈락했다.[19]

8. 8. 2018 시즌

2018 시즌에는 바야돌리드누만시아를 꺾고 승격하였다.[19][20] 준결승전에서는 스포르팅 히혼사라고사가 탈락했다.

8. 9. 2019 시즌

2019 시즌에는 마요르카데포르티보를 꺾고 승격하였다.[19][10] 준결승전에서는 알바세테말라가가 탈락했다.[19][10]

8. 10. 2020 시즌

2020 시즌에는 엘체지로나를 꺾고 승격하였다.[19] 알메리아사라고사는 준결승에서 탈락했다.[19]

8. 11. 2021 시즌

2021 시즌에서는 라요 바예카노지로나를 꺾고 라리가로 승격하였다.[19][20] 준결승전에서는 알메리아레가네스가 탈락했다.

8. 12. 2022 시즌

2022 시즌에서는 지로나테네리페를 꺾고 승격하였다.[19][20] 준결승전에서는 에이바르와 라스 팔마스가 탈락했다.

8. 13. 2023 시즌

2023년 세군다 디비시온 플레이오프에서 알라베스레반테를 꺾고 승격하였다.[10] 준결승에서는 알바세테에이바르가 탈락했다.[9]

8. 14. 2024 시즌

2024 시즌, 에스파뇰오비에도를 꺾고 승격하였다.[19] 준결승전에서는 에이바르스포르팅 히혼이 탈락했다.[19]

세군다 디비시온 플레이오프전은 2010-11 시즌부터 풋볼 리그 플레이오프전 형식을 도입했다.[19] 상위 2개 구단은 라리가로 자동 승격되며, 3위부터 6위까지의 구단이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한다. 2군이 이 순위에 들 경우, 참가 자격은 차순위 구단에 주어진다.[19]

준결승전은 5위 구단 대 4위 구단, 6위 구단 대 3위 구단의 대진으로 진행되며, 결승전과 마찬가지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리그 순위가 높은 구단이 2차전을 홈에서 치르는 이점을 가진다.

2011-12 시즌부터는 새로운 규정이 적용되어, 양 팀이 동률을 이룰 경우 연장전을 진행하고, 연장전 후에도 동률이면 승부차기 없이 리그 순위가 높은 구단이 승리하게 된다.[20]

참조

[1] 웹사이트 1929: El Racing de Santander, verdugo del Sevilla, por dos veces. http://www.cihefe.es[...] CIHEFE 2016-06-13
[2] 웹사이트 Dos liguillas de promoción malditas http://www.realovied[...] Real Oviedo Info 2016-06-13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웹사이트 Vuelve la promoción y se retorna a Primera http://www.realovied[...] RealOviedo.info 2016-06-13
[7] 웹사이트 Noticias de la temporada 1999/2000 http://www.lsi.us.es[...] 2016-06-13
[8] 문서
[9] 웹사이트 Un playoff decidirá el tercer ascendido en el próximo curso http://futbol.as.com[...] As.com 2016-06-13
[10] 웹사이트 No habrá penaltis en los 'playoffs' de ascenso http://www.marca.com[...] Marca 2016-06-13
[11] 웹인용 1929: El Racing de Santander, verdugo del Sevilla, por dos veces. http://www.cihefe.es[...] CIHEFE 2015-02-14
[12] 웹인용 Dos liguillas de promoción malditas http://www.realovied[...] Real Oviedo Info 2016-06-13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웹인용 Vuelve la promoción y se retorna a Primera http://www.realovied[...] RealOviedo.info 2016-06-13
[17] 웹인용 Noticias de la temporada 1999/2000 http://www.lsi.us.es[...] 2016-06-13
[18] 문서
[19] 웹인용 Un playoff decidirá el tercer ascendido en el próximo curso http://futbol.as.com[...] As.com 2016-06-13
[20] 웹인용 No habrá penaltis en los 'playoffs' de ascenso http://www.marca.com[...] Marca 2016-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